웹소설, 만화책은 도움이 안 될까? 이것만 알면 돼

너진똑 NJT BOOK
너진똑 NJT BOOK
213.5 هزار بار بازدید - 4 ماه پیش - 편집 : 장관 (김엽)디자인 :
편집 : 장관 (김엽)
디자인 : 차관 (박혜진)

[참고 문헌]
인용은 따로 본문에 각주로 표기합니다
꺽쇠 괄호 표기X

김경애. (2017). ‘보는’ 소설로의 전환, 로맨스 웹소설 문화 현상의 함의와 문제점. 인문사회 21, 8(4), 1367-1388.
김양태. (2020). 문화진화 관점에서 본 중독사회. 중독정신의학, 24(1), 21-28.
안상원. (2017). 웹소설 유료화에 따른 플랫폼과 서사의변화 양상 연구. 한국문예창작, 16(3), 9-33.
안상원. (2020). 상상의 질료, 해체의 대상으로서의 역사 -장르소설과 웹소설의 대체역사물 연구. 민족문학사연구,(72), 71-92.
김예니. (2019). 웹소설의 미감과 장르교섭 양상. 한국문예비평연구,(64), 37-56.
전성규, 곽지은. (2022). 키워드로 본 웹소설의 10년 : 2013~2022년 네이버 포탈 사이트에 게시된 기사를 중심으로. 서강인문논총, 65, 37-68, 10.37981/hjhrisu.2022.12.65.37
음성원, 장웅조. (2022). 웹소설에서의 회귀·환생 모티브 활용 연구 - Vogler의 서사구조를 중심으로 -. 문화콘텐츠연구,(25), 39-72.
전기정. (2020). 한중 웹소설의 특징 및 시장 현황 비교 분석. 열린정신 인문학연구, 21(2), 55-75.
안상원. (2018). 한국 장르소설의 마스터플롯 연구. 국어국문학,(184), 163-186, 10.31889/kll.2018.09.184.163
박인성. (2021). 한국와 일본의 판타지 장르 비교를 통한 마스터플롯 연구 -이세계물과 그 파생 장르를 중심으로. 현대소설연구,(81), 5-40, 10.20483/JKFR.2021.03.81.005
안상원. (2019). 한국 웹소설 ‘로맨스판타지’ 장르의 서사적 특성 연구. 인문콘텐츠,(55), 219-234, 10.18658/humancon.2019.12.219
김준현. (2019). 웹소설 장에서 사용되는 장르 연관 개념 연구. 현대소설연구,(74), 107-137, 10.20483/JKFR.2019.06.74.107
손남훈. (2018). 웹소설, 우리 시대의 표정. 오늘의 문예비평,, 132-151.
안상원. (2021). 모험서사와 여성혐오의 결합과 독서 욕망 - 웹소설 로맨스판타지 장르에 나타난 성장물의 양가성. 이화어문논집,(53), 175-196.
김수아, 고윤경. (2024). 웹소설에 재현된 낭만적 사랑: 웹소설 수용자 인식을 중심으로. 미디어, 젠더 & 문화, 39(1), 189-231, 10.38196/mgc.2024.03.39.1.189
허만욱. (2011). 한국 판타지 장르문학의 흐름과 발전 전략 연구. 우리문학연구, 34, 485-514.
유인혁. (2020). 한국 웹소설 판타지의 형식적 갱신과 사회적 성찰?책빙의물을 중심으로. 대중서사연구, 26(1), 77-102, 10.18856/jpn.2020.26.1.003
권용현. (2020). 연재형 콘텐츠의 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: 한국의 웹소설 시장을 중심으로. 정보사회와 미디어, 21(1), 1-32, 10.52558/ISM.2020.04.21.1.1
하철승. (2021). 웹소설 플랫폼 지표분석을 통한 흥행작품 특징 연구 -문피아를 중심으로. 인문사회 21, 12(3), 1019-1032.
하상집, 박도형. (2022). 웹소설 사용자 이해를 위한 데이터 기반 페르소나 분석: 정량적 행동 패턴 데이터 중심으로. 지식경영연구, 23(3), 259-284.
박지희. (2022). 한국 웹소설 『재벌집 막내아들』에 나타난 신자유주의 시대 현실 재현 양상 연구. 인문콘텐츠,(66), 151-173, 10.18658/humancon.2022.09.151
김미숙. (2022). 미디어 콘텐츠 생산자로서 웹소설 작가의 정체성 연구: 심층 인터뷰와 자기기술지를 중심으로.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, 22(10), 658-675.
이시성. (2023). 웹소설 『재벌집 막내아들』이 보여주는 성과주체의 현대적 판타지. 오늘의 문예비평,, 241-258.
마크로밀엠브레인. (2022). 웹소설 관련 U&A 조사. (주)마크로밀엠브레인.
김정희. (2023). 웹소설『 나 혼자만 레벨업』을 통해 본 한국형 영웅서사의 원형 - 〈주몽신화〉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-. 문화콘텐츠연구,(27), 35-73.
이승윤, 이채현, 장수령. (2024). 웹소설 작품 소개의 긍정적 감정이 웹소설 흥행에 미치는 영향.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, 24(3), 206-217, 10.5392/JKCA.2024.24.03.206
이융희. (2019). 웹소설 창작자와 플랫폼의 구조. 자음과모음,(40), 169-178.

이용준, 최연. (2017). 외국 웹소설의 현황과 특성을 통해 본 국내 웹소설 발전의 시사점. 한국출판학연구, 43(3), 79-113.
정옥년. (2018). 창의성 관련 인문 독서 경험의 효과. 독서연구,(49), 59-80.
김한식. (2004). 문학과 카타르시스 - 아리스토텔레스의 『시학』을 중심으로 -. 프랑스어문교육,(18), 441-466.
이국환. (2011). 소설의 치유 기능과 카타르시스. 석당논총,(50), 497-536.
박인성. (2024). 숏텀-피드백 시대의 웹소설 : 문장형 제목과 태그형 장르를 통한 사전 독서. 동서인문학, 66, 7-41, 10.37498/HSEW.2024.02.66.7
노희준. (2018). 플랫폼 기반 웹 소설의 장르성 연구. 세계문학비교연구,(64), 409-428.
한국콘텐츠진흥원. (2020). 웹소설 이용자 실태조사. 한국콘텐츠진흥원.
김경애. (2021). 한국 웹소설 독자의 특성 연구.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, 22(7), 551-558, 10.5762/KAIS.2021.22.7.551
김예니. (2022). 대중서사 속 ‘클리셰’의 변화양상 - 로맨스 웹소설을 중심으로 -. 돈암어문학, 42, 7-35, 10.17056/donam.2022.42..7
최배은. (2017). 한국 웹소설의 서술형식 연구. 대중서사연구, 23(1), 66-97, 10.18856/jpn.2017.23.1.003
조수연, 오하영. (2020). 웹소설 키워드를 통한 이용 독자 내적 욕구 및 특성 파악.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, 24(2), 158-165.
김주, 정현욱. (2022).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웹소설 이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. 한국출판학연구, 48(3), 33-53.
박수미. (2022). 웹소설 서사의 파격성과 보수성. 한국문예비평연구,(75), 35-60.
김주, 김선남. (2022). 국내 웹소설 이용자의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: 이용과 충족이론을 중심으로. 한국출판학연구, 48(5), 5-26.
김명석. (2023). 웹소설 창작론 연구. 우리문학연구, 77, 105-135, 10.20864/skl.2023.1.77.105
최창원, 조동현. (2023). 웹소설 생태계 이끄는 주인공들 유료화·작가 에이전시·글감 추천… 갈수록 커지는 ‘K웹소설 산업 지도’. 매경이코노미,, 24-26.
류수연. (2019). 웹 2.0 시대와 웹소설—웹 로맨스 서사를 중심으로. 대중서사연구, 25(4), 9-43.
4 ماه پیش در تاریخ 1403/03/30 منتشر شده است.
213,508 بـار بازدید شده
... بیشت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