꿀잼인데 조회수 낮아서 이해가 안 되는 [프랑켄슈타인]

너진똑 NJT BOOK
너진똑 NJT BOOK
269.4 هزار بار بازدید - 6 ماه پیش - #프랑켄슈타인
#프랑켄슈타인 #미스테리

더빙 도움 : ​⁠‪@seavoiceteam‬ 시보이스 (빅터 : 위스퍼, 여성 캐릭터 : 죠리퐁)
편집 : 너동부장관 (김엽)
디자인 : 너동부차관 (박혜진)
각색 보조 : 너동부국장 (김민정)

「참고문헌」

Marshall, F. A. T. (2020). The Life and Letters of Mary Wollstonecraft Shelley, Volume I (of 2): Volume 1. (n.p.): Outlook Verlag.
Fulton, L. (2018). “She Made a Monster: How Mary Shelley Created Frankenstein”. Random House Children's Books.
St William St St Clair. (1991). "The Godwins and the Shelleys: A Biography of a Family."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
Bailey, L. (2019). Mary and Frankenstein: The True Story of Mary Shelley. Andersen Press.
Eisler, Benita. (2011). "Byron: Child of Passion, Fool of Fame Kindle Edition." Vintage
추재욱, Jae-uk. (2009). 프랑켄슈타인에 나타난 괴물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기: 자연과 과학의 경계에서. 영미문화, 9(3), 325-343.
추재욱, Jae-uk. (2009). 프랑켄슈타인과 멋진 신세계에 나타난 과학과 생명윤리 연구 -포스트휴먼 시대의 생태학적 생명윤리-. 현대영미소설, 16(2), 27-48.
박경서. (2013). Si-Fi와 프랑켄슈타인. 신영어영문학, 55, 47-70.
김순원. (2010). 프랑켄슈타인: 서술의 사슬, 관계의 사슬. 18세기영문학, 7(1), 1-29.
김종갑. (2010). 배려의 윤리와 정의의 윤리: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. 영미문화, 10(3), 105-128.
오봉희, Bonghee. (2011). 메어리 셸리의프랑켄슈타인에 나타난 이방인과 환대의 문제. 영어영문학, 57(1), 51-72.
차희정. (2012). 근대 고딕소설의 괴물 사냥꾼과 폭력의 이미지 —프랑켄슈타인과 드라큘라를 중심으로. 영어영문학21, 25(4), 145-166.
금인숙. (2012). 프랑켄슈타인과 과학규범. 담론201, 15(1), 93-119.
김경순 /Kyungsoon Kim. (2013). 상징계에서 실재계로—프랑켄슈타인의 이데올로기적 주체 빅터. 영어영문학, 59(2), 221-244.
김미숙. (2013). 프랑켄슈타인에 나타난 ‘공포’와 ‘숭고’. 세계문학비교연구,(45), 159-184.
김형중. (2011). 프랑켄슈타인 박사의 소설 쓰기. 문학과사회, 24(3), 223-241.
허정애. (2013). 근대성, 인종주의, 코즈모폴리턴 공동체: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 다시 읽기. 영미어문학,(107), 41-63.
김은경 /Kim Yeun Kyong. (2014). 초자아와 이데올로기:프랑켄슈타인. 영미문학교육, 18(1), 107-143.
정순국 /Sun-Kug Jung. (2014). 괴물의 언어: 다문화시대의 프랑켄슈타인과 드라큘라. 영미문화, 14(2), 251-286.
이병용. (2014).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본 ‘프랑켄슈타인’. 정신분석, 25(2), 65-70.
박하정. (2014). “여성을 만들어 주시오”: 프랑켄슈타인에 나타난 피조물의 정체성 열망과 남성성 선택. 18세기영문학, 11(2), 119-146.
손현주. (2014). 다시 읽는 프랑켄슈타인- “모던 프로메테우스”와 여성의 생명 창조력 -. 인문논총, 71(1), 117-149.
추재욱. (2014). 19세기 과학소설에 재현된 의과학 발전양상 연구. 의사학, 23(3), 543-572.
김경순. (2014). 마르크스주의와 자아소외: 프랑켄슈타인 읽기. 비교문학,(64), 5-23.
하수정. (2015). 다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페미니즘과 혼종적 주체: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을 중심으로. 영미어문학,(118), 285-304.
오하나, 김영택. (2014). 창작뮤지컬 개발 성공사례. 서비스경영학회지, 15(4), 271-290.
유명자. (2016). 메리 W. 셸리의 프랑켄슈타인: 운하임리히(unheimlich) 서사. 영미어문학,(122), 45-66, http://dx.doi.org/10.21297/ballak.201...
박하정. (2016).  프랑켄슈타인에 나타난 남성성의 재현과 남성 간의 유대. 근대영미소설, 23(3), 5-27.
천현순. (2017). 포스트휴먼의 원형과 문학적 상상력 - 프랑켄슈타인의 피조물 vs. 호문쿨루스. 독일언어문학,(78), 209-235.
이선주. (2017). 포스트휴먼 관점에서 본 프랑켄슈타인. 19세기 영어권 문학, 21(1), 57-83, 10.24152/NCLE.2017.02.21.1.57
손나경. (2017). 과학적 진보와 문학의 과학적 상상력 사이의 대화: 프랑켄슈타인, 모로 박사의 섬, 나를 보내지 마를 대상으로. 영미어문학,(125), 163-186, http://dx.doi.org/10.21297/ballak.201...
한애경. (2017). ‘괴물’이라는 관점에서 본 「레이디 수전」과 프랑켄슈타인. 신영어영문학, 68, 237-254, 10.21087/nsell.2017.11.68.237
양윤정. (개최날짜). 올디스의 SF 프랑켄슈타인의 해방에 재현된 디스토피아 세계.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, 개최지.
김예경. (2018). 프랑켄슈타인, 숭고와 그로테스크. 우리어문연구,(62), 401-434.
김명균, 김동균. (2017). 생명공학과 윤리. 신영어영문학, 68, 43-62, 10.21087/nsell.2017.11.68.43
박순강. (2019). 프랑켄슈타인의 감정 어휘 및 표현에 대한 코퍼스 기반 연구. 영미연구, 46, 1-32.
안진흥. (2019). 프랑켄슈타인: 인간과 비인간을 함께 포용하는 포스트휴먼. 영미어문학,(134), 61-81.
양윤정. (2017). 통합의 문학으로서 SF. 스토리앤이미지텔링, 14, 293-316.
김경희. (개최날짜). 공감하는 인간 :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을 중심으로.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, 개최지.
이유진. (개최날짜). 고딕 어머니’(The Gothic Mother): 프랑켄슈타인(Frankenstein)에 나타난 모성.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, 개최지.
김경희. (2019). 공감하는 인간: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을 중심으로. 새한영어영문학, 61(4), 21-38.
김수임, 정혜진. (2020).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평생교육의 역할: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으로 비판적 사고 가르치기. 영미문학교육, 24(2), 5-30.
김영일. (2020). 프랑켄슈타인 현상: 근대적인 경험으로서 과학과 인간의 이분법. 현대영화연구, 16(3), 147-167.
김경희. (2020). ‘프랑켄슈타인’의 여성들: 메리 셸리의 소설 프랑켄슈타인과 웨일 감독과 브래너 감독 영화들을 중심으로. 동서비교문학저널,(51), 57-80, 10.29324/jewcl.2020.3.51.57
구승본. (2020). 포스트휴먼 소설의 한계: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에 나타난 인간성에 대한 향수. 새한영어영문학, 62(4), 43-63.
추재욱. (2021). 인공지능 괴물성에서 포스트휴먼 정체성으로?프랑켄슈타인과 뉴로맨서를 중심으로?. 현대영미소설, 28(2), 271-297.
류다영. (2021). 스토리텔링을 통한 자아 인식과 치유 - 프랑켄슈타인을 중심으로 -. 인문과학연구, 70, 153-171, 10.33252/sih.2021.9.70.153
하재홍, 박미경. (2021). 프랑켄슈타인에 나타난 괴물의 정의요구. 민주법학,(77), 155-184, 10.15756/dls.2021..77.155
이유진. (2022). 프랑켄슈타인에 나타난 ‘괴물 어머니’ - ‘빅터’의 모성을 중심으로 -. 인문학연구, 61(1), 195-215.
윤구상. (2022). 아담 프랑켄슈타인의 독서치료 분석. 영미문학교육, 26(1), 275-305.
공강석. (2022). 프랑켄슈타인과 칸트의 ‘목적으로서 인간’. 인문과 예술,(12), 107-216.
강준수. (2022). 프랑켄슈타인의 여성 위상과 셸리의 자아 투영 괴물 이미지 고찰. 스토리앤이미지텔링, 23, 17-43.
유성운. (2022). 유성운의 기후와 문화, 그리고 작품을 찾아서 ② 프랑켄슈타인이 탄생한 1816년 여름 이상기후와 공포문학 : 화산 폭발이 일으킨 진짜 공포, 현실은 더 잔혹했다. 월간중앙,, 190-193.
이은석. (2022). 패러디를 통해 본 멜 브룩스의 작품 세계: 불타는 안장과 영 프랑켄슈타인을 중심으로. 영화연구,(93), 5-28, 10.17947/FS.2022.9.93.5
차희정. (2022). 새로운 인간의 탄생: 소설 프랑켄슈타인에서 영화 엑스 마키나로. 새한영어영문학, 64(4), 25-44.
Jing Zhu. (2023). 괴물성(Monstrosity)과 전염성(Contagion): 소설 ‘프랑켄슈타인’(Frankenstein)과 ‘에일리언’(1979)에서 나타난 비인간성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. 비교문학,(89), 289-317.
박선주. (2023). 텍스트의 탈맥락화: 존재론적 전회와 메리 셸리의프랑켄슈타인읽기. 외국문학연구,(89), 9-25.
공원국. (2023). 신화인류학자가 말하는 이야기의 힘 인물 창조의 산고 ③ - 프랑켄슈타인의 창, 거울, 그리고 문. 계간 미스터리,, 182-193.
이승원. (2023). 시민권력 vs. 프랑켄슈타인 권력 : 시민권력은 세상을 어떻게 바꾸는가 - 커먼즈, 사회적경제, 자치와 직접민주주의를 통한 국가와 정치의 전환 존 레스타키스 지음, 번역협동조합·박대진·남선옥·유은희 옮김, 착한책가게, 2022. 시민과세계,, 183-191, 외 다수
6 ماه پیش در تاریخ 1402/12/04 منتشر شده است.
269,400 بـار بازدید شده
... بیشتر